꿈해몽

[무경의사주와운세 전운학] 꿈해몽~~~도구꿈

전운학 2022. 10. 1. 19:01

[무경의사주와운세 전운학] 꿈해몽~~~도구꿈

 

*꿈에 등장한 도구

-협조자 .권세.방도 .정신력.능력. 성격 등을 상징한다

 

*칼로 물건을 자르거나 깎거나 하는 등의 꿈

-어떤 일을 분할 .분배하거나 가다듬게 된다는 암시적 표현이다

 

*도끼로 장작이나 통마룰 쪼개는꿈

-협조자.방도 등을 동원하여 지금 추진 중인 일거리를 세분.정리하게 된다는 뜻이다

 

*길을 가로막는 나무를 베어낼 목적으로 그 밑동을 도끼로 찍는 꿈

-적대적인 어떤 유력자나 큰 사업체를 제거하기 위해 강력한 수단을 동원하게 된다

 

*그러나 재목으로 쓰기 위해 나무를 케어내는 꿈

-어떤 방도나 권리에 의해서 인재 .재물 등을 얻게 된다

 

*벼의 생장을 돕기 위해 낫으로 논두렁의 풀을 깍는꿈

-사업에 방해가 되는 불순한 요소들을 미리 제거 한다는뜻이다

 

*망치로 못을 박는꿈

-법규 .계약 등에 의하여 튼튼한 마무리를 짓게 된다

 

*목수가 대패질을 하는 광경을 바라보는꿈

-기자 .학자 .사업가 등이 재료를 선택하여 쓸모가 있는것으로 가다듬고 있음에 비유된다

 

*펜치로 못을 뽑는굼

-상대방의 해약 .파기 .절연 등을 하게 된다

 

*드라이버를 사용해서 나사못을 뽑는꿈

-유효한 수단을 동원하여 고착되고 결함이 생긴 어떤 일거리나 조직체를 해체하게 된다

 

*하늘에서 내려오는 큰 가위를 치마폭에 받았다는 태몽

-그 주인공이 장차 국가적 결속력을 와해 시킬 만큼 걍력한 권능을 소유하거나 두개의

강대한 세력을 자유자내로 조정 할 수잇는 능력을 갖게 된다는 암시였다

 

*송곳은 어떤 적극적이고 충격적이며 신속한 수단임을 나타내는데

-통과 .통찰 .감염 등의 관념과 연관된 상징 표상이기도 한다

 

*꿈에 괴한 이 송곳으로 목을 찌르는 바람에 깜짝 놀래 깨었다는 어떤 사람은

-이튿날 독감에 걸려 못이 붓는 것으로 꿈이 실현 되었다고 한다

 

*열쇠를 얻는꿈

-당면한 소원과 관련하여 여럭지 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도나 능력을 얻게 된다

 

*남성의 경우.잠긴 방문을 열쇠로 열고 들어가는 꿈

-정조관념이 강한 어떤 여성을 정복 할 수있다

 

*황금으로 만든 행운의 열쇠를 얻는꿈

-당면한 최고 .최대의 소망을 실현 시킬수 있다

 

*태몽에서 태아포상으로 등장한 열쇠

-재물의 송유와 관련하여 자유자테로 구사 할 수있는 만능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다

 

*소나 말에 쟁기를 메달아 논 밭을 가는꿈

-유효한 방도를 마련하여 새로운 사업에 착수하거나 새 작품을 집필하게 된다

 

*갈퀴로 가랑잎을 긁어 모으는꿈

-어떤 방도에 의하여 돈을 벌어 재물을 축적한다는 뜻이다

 

*꿈에 등장한 새끼줄 .밧줄. 자일등

-수명 .인연 .세력 .능력 .방도 .시간 등을 나타낸다

 

*암벽 등반을 하다가 자일이 끊어져 밑으로 떨어지는꿈

-믿고 의지했던 사람 .세력 등과의 인연이 끊어져 몰락한다

 

*줄타기를 하는꿈은 주로 어떤 위기를 만났을때 자주 꾸어지는데

-이쪽에서 저쪽으로 무사히 건너갔다면 호된 난관을 극적으로 극복하게 된다

 

*꿈에 두 집단이 줄다리기를 하여 어느 한쪽이 이기는 장면을 관람자의 입장으로 바라보았다면

-마음의 갈등을 불러 일으키던 두 개의 상반된 가치판단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

 

*꿈에 등장한 어떤 줄이 두개의 물체를 연결하고 잇는것은

-인연 .연락 .소통 등이 유지되고 있다는 뜻이다

 

*꿈에 등장한 지게는

-방도 .협조세력 . 책임 등을 상징한다

 

*빈 지게를 지고 가는꿈

-실속이 없는 일에 관하여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게 된다

 

*자기가 지고 있는 지게에 무거운짐을 싣는꿈

-성과는 있겠으나 그 과정이 고통 스러운 어떤 일을 맡게 된다

 

*멍석을 펼치는꿈

-큰 사업을 시작하거나 잔치를 벌이게 된다

 

*멍석에 곡식을 말리는꿈

-새 사업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게 된다

 

*멍석을 둘둘 말아 접는꿈

-하고 있는 사업을 중단하게 된다

 

*키질하는꿈

-선악을 분별할 일이 생긴다

 

*새끼줄을 늘여 날을 하고 짚으로 씨를 해서 가마니를짜는꿈

-조직 .계약 .생신등의 관념이 유발되는 어떤 일이나 사건을 암시한다

 

*베틀로 베를 짜는꿈

-가마니늘 짜는꿈

 

*탈곡기로 벼를 터는꿈

-오랜 노력의 결과물을 정리하여 그 성과를 간추리게 된다

 

*꿈에 등장한 자는

-방도 .권리. 가치판단 .치적 .한정 등을 상징한다

 

*자로 어떤 물체의 크기를 재는꿈

-어떤 사물에 대한 가치 판단을 하거나 자로 잰 크기로 암시 되는 직책 .영토 .사업기반 등을 소유하게 된다는뜻이다

 

*신선이 황금 침척을 건네주며 동국지망을 측량하는데 쓰라 라고 말했다는 이자춘의 꿈

-장차 아들 이성계가 이씨 조선을 개국하여 한반도를 통치하게 된다는 태몽이었다

 

*자를 염두에 두고 어떤 사물의 넓이를 목측하는굼

-자신의 세력권이나 운신의 폭을 가늠하는 상징표현이다

 

*자를 이용하여 삼각형이나 장방형 등을 그리는꿈

-자신만의 책임 구역을 갖게 된다

 

*부피를 측정 할수 있는 말 .되 등의 용기

-재물의 크기나 사람의 도량을 암시하는 상징표상이다

 

*말을 얻는 태몽으로 출생한 아이

-장성하여 도량이 넓은 부자가 된다

 

*사업 초기에 말을 새로 사오는꿈

-그 사업이 번창하여 큰 성공을 거두게 된다

 

*말로 곡식을 되는꿈

-그 수량에 비견될 만한 재물을 얻게 된다

 

*꿈에 등장한 저울

-가치 판단 .비교 .차별 .평균 .인격 등의 관념과 연관된 일이 나 ,사건을 암시한다

 

*금. 은 으로 만든 저울을 태아표상으로 출생한 아이는

-장차 장성하여 학자 .심사관 .재판관 .평론가.문명비평가. 시사평론가 등으로 성공한다

 

*세곳의 옹달샘 무을 떠서 각각 저울로 달아 보았다는꿈

-세가지 사업목적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는 암시였다

 

*어떤 물건의 무게를 달려고 저울에 올려보니 추가 물건보다 무거웠다는꿈

-선택한 일거리 .재물 .인재 등이 기대 .기준 등에 못미처 실망하게 된다는 암시였다

 

*두개의 물건을 천칭 저울 양쪽에 걸어 비교하는꿈

-인물 .일거리 등을 선택함에 있어 둘중의 하나만을 취하게 된다

 

--현대꿈해몽

https://m.expert.naver.com/mobile/expert/product/detail?storeId=100023015&productId=100048603 

 

[사주 본색] 사주 + 운세상담 (네이버사주 엑스퍼트사주 인터넷사주) : 네이버 eXpert

엑스퍼트: 운칠기삼 사주가 아무리 좋아도 운좋은 사람 못따라 갑니다 ​ 사주 운세 상담 ☆ 사주상담 운세상담 ☆ 네이버사주 엑스퍼트사주 전화사주 ​ 사주전문상담사 四柱本色(사주본색...

m.expert.naver.com

https://m.expert.naver.com/mobile/expert/product/detail?storeId=100023015&productId=100067741 

 

[사주 본색] 초특급간단 궁합상담(연애궁합 결혼궁합 네이버궁합 전화상담) : 네이버 eXpert

엑스퍼트: [사주 본색] 초특급간단 궁합상담(연애궁합 결혼궁합 네이버궁합 전화상담) 간단궁합상품입니다 ​ 네이버 엑스퍼트 지식인 사주 운세 궁합 전문 상담사 입니다 네이버 전운학 ...

m.expert.naver.com

https://m.expert.naver.com/mobile/expert/product/detail?storeId=100023015&productId=100066467 

 

[사주 본색]사주풀이 & 고민상담 (사주상담 사주풀이 사주운세 사주팔자) : 네이버 eXpert

엑스퍼트: [사주풀이] 사주풀이 & 고민상담 (사주상담 사주풀이 사주운세 사주팔자) ​ 내 사주는 어떤 색을 가지고 있는지 운은 어떻게 흐르는지 사주를 통해 풀어드리고 고민...

m.expert.naver.com

 

사업자 정보 표시
무경의사주와운세 | 전운학 | 경기도 시흥시 복지로 | 사업자 등록번호 : 380-20-01354 | TEL : 010-8012-0066 | 통신판매신고번호 : 제 2021-경기 시흥-2402호 |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